본문 바로가기
나무 꽃 생물 과학

땅콩 수확시기

by 매우현명3 2025. 6. 23.
반응형

땅콩 수확시기 완벽 가이드

땅콩 재배의 매력과 수확 타이밍의 중요성

땅콩은 뿌리에서 열매가 자라는 독특한 작물입니다. 겉보기에는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 땅콩 수확 시기를 잘못 판단하면 수확량과 품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땅콩 수확시기

특히 국내 기후는 여름의 고온·다습과 가을의 선선한 날씨가 교차하므로, 땅콩의 생육 단계와 기상 여건을 모두 고려해야 최적의 땅콩 수확시기를 잡을 수 있습니다.

생육 단계별 체크포인트

발아 및 초기 생육

  • 파종 시기: 대부분 남부 지방은 4월 중하순, 중부 지방은 5월 상순에 파종합니다.
  • 발아 조건: 토양 온도 18-25℃, 충분한 햇빛과 배수가 필수입니다.

개화 및 꼬투리 형성

  • 꽃은 파종 후 35-45일 사이에 피며, 꽃받침이 땅에 꽂히면서 꼬투리가 토양으로 자랍니다.
  • 이때 포장을 건조하게 유지하면 꼬투리 침투가 잘 되지 않아 수확량이 감소하니, 적절한 토양 수분을 유지하세요.

착협기(꼬투리 비대기)

  • 착협 후 50-60일 동안 땅속에서 알이 차오릅니다.
  • 질소 과다 시 비대 지연이 발생하므로, 개화 전후 추비 시 질소 비중을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땅콩 수확 시기 판단 기준

땅콩 수확 시기

1. 지상부 엽색 변화

  • 전체 잎의 70% 이상이 연녹색에서 황색으로 변할 때가 1차 지표입니다.
  • 잎이 색 변화를 보였더라도 줄기가 아직 녹색이라면 며칠 더 기다리세요.

2. 꼬투리 외피 착색

  • 땅콩의 외피가 황갈색으로 변하고, 맨질맨질한 광택이 없어지면 수확 적기입니다.
  • 외피가 여전히 연한 베이지색이면 미숙 상태일 확률이 높습니다.

3. 알맹이 충실도

  • 수확 전 테스트용으로 5-10포기를 캐서 알맹이 속피의 붉은색이 선명하면 익은 상태입니다.
  • 속피가 흐리거나 분홍빛이 돌면 1주일 후 재점검하세요.

지역별 통상 수확 캘린더

중부 내륙(경기·충청 북부)

  • 파종 5월 상순 → 수확 9월 중하순
  • 평균 생육일수 130-140일

남부 평야(전남·경남, 제주)

  • 파종 4월 하순 → 수확 9월 초∼중순
  • 평균 생육일수 120-130일

고랭지(강원 영서·산간)

  • 파종 5월 중순 → 수확 9월 말∼10월 초
  • 평균 생육일수 135-145일

Tip
기상 이변이 잦은 요즘, 통상 캘린더는 참고용입니다. 엽색·외피·충실도 3대 지표를 항상 병행 체크하세요.

수확 준비와 작업 순서

1. 수확 5-7일 전 관수 중단

땅을 적절히 말려야 땅콩 꼬투리가 잘 떨어지지 않고, 작업 시 흙이 덜 달라붙습니다.

2. 도구 및 장비

  • 손모종삽 또는 포크 삽: 포기를 흙째 들어 올려 뿌리 손상을 최소화
  • 수확용 망: 토양과 땅콩을 쉽게 분리
  • 건조대·차광막: 건조 시 직사광선 피해 예방

3. 땅콩 캐기

  1. 줄기 밑둥을 잡고 포크 삽을 10-15cm 거리에서 깊숙이 넣습니다.
  2. 지렛대 원리로 들어 올리며 포기를 통째로 뽑습니다.
  3. 거꾸로 세워 흙 털기 → 꼬투리 분리 과정 순으로 진행합니다.

건조·숙성 및 저장

1단계: 1차 그늘 건조

  • 수확 직후 그늘에서 3-4일 건조해 과도한 수분을 제거합니다.

2단계: 꼬투리 속껍질 숙성

  • 온도 30℃ 이하, 상대습도 60-70% 환경에서 7-10일간 숙성하면 풍미가 향상됩니다.

3단계: 장기 저장

  • 수분 9% 이하가 되면 질소 충전 봉투 또는 밀폐 용기에 보관하세요.
  • 적정 보관 온도는 **섭씨 5-10℃**이며, 냉장보관 시 최대 12개월까지 품질 유지가 가능합니다.

수확 실패를 부르는 흔한 실수

  1. 잎색만 보고 조기 수확
    • 내부 충실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2. 장마철 강제 수확
    • 높은 토양 수분은 곰팡이 번식 위험이 커집니다.
  3. 과다 시비
    • 특히 질소 성분은 꼬투리 비대를 늦춰 수확 시점이 불규칙해집니다.

친환경 수확 관리 포인트

  • 멀칭 필름 제거 난감: 생분해 필름을 사용하면 수확 후 필름 회수 노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남은 줄기 처리: 파쇄 후 퇴비화하면 토양 유기물 증진.
  • 친환경 방제: 수확 20일 전 이후에는 화학 농약 사용을 중단해 잔류 농약 우려를 최소화합니다.

결론

땅콩 수확은 단순히 캘린더 날짜를 따르는 작업이 아닙니다. 생육 단계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엽색 변화, 외피 착색, 알맹이 충실도를 모두 체크해야 완숙도의 땅콩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확 후 건조와 보관 관리까지 이어져야 최종적으로 맛과 영양이 살아있는 국내산 땅콩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농가 여러분께서는 지역 특성과 매년 달라지는 기상 조건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땅콩 수확을 계획 중이시라면, 오늘 가이드의 주요 포인트를 현장에 바로 적용해 보세요. 적기에 수확한 알찬 땅콩은 수익과 소비자 만족도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게 해 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