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 꽃 생물 과학

감나무 약치는 시기

by 하누혀누IT 2025. 8. 17.
반응형

감나무 약치는 시기

감나무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과일나무 중 하나로, 가을철 붉게 익은 감은 농가의 중요한 소득원이자 가정의 식탁을 풍요롭게 해주는 과일입니다. 하지만 감나무는 다른 과수와 마찬가지로 병충해에 취약해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감나무 약치는 시기를 놓치면 병충해가 확산되어 과실의 품질과 수확량에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월별로 어떤 병충해가 발생하고, 그에 맞는 약제를 언제 살포해야 하는지 감나무 약치는 시기를 정확히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감나무 약치는 시기

아래에서는 연중 감나무 병충해 관리와 월별 감나무 약치는 시기를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주요 병해충의 특징과 방제 방법까지 깊이 있게 다루어 보겠습니다.


연간 월별 감나무 약치는 시기

감나무 약치는 계절과 병충해 발생 주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를 월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월별 감나무 약치는 시기

  • 월동기 (겨울철, 12월~2월)
    • 모든 병충해에 대비하여 기계유 유제 20~30배 희석액을 살포
    • 목적: 병충해의 월동을 방지하고 이듬해 초기 발생 억제
  • 4월
    • 주요 병충해: 흰가루병
    • 방제: 새싹이 트는 시기부터 예방 차원에서 약제 살포
  • 5월
    • 주요 병충해: 탄저병, 깍지벌레류, 흰가루병
    • 방제: 개화 직후부터 집중 관리, 초기 방제가 후반 피해 억제에 효과적
  • 6월
    • 주요 병충해: 탄저병, 깍지벌레류, 감꼭지나방, 둥근무늬낙엽병, 모무늬낙엽병
    • 방제: 장마철 진입 전후로 약제를 2~3회 살포
  • 7월
    • 주요 병충해: 탄저병, 깍지벌레류, 감꼭지나방, 둥근·모무늬낙엽병, 노린재류
    • 방제: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병충해 급증, 집중 관리 필요
  • 8월
    • 주요 병충해: 깍지벌레류, 감꼭지나방, 노린재류
    • 방제: 수확 전 병충해 방지, 약제는 안전사용기준을 지켜야 함
  • 9월
    • 주요 병충해: 노린재류
    • 방제: 과실 피해 방지를 위해 수확 직전까지도 적절히 관리


감나무 병충해 종류

1. 둥근무늬낙엽병

  • 특징: 잎 뒷면에 흑갈색 원형 반점 → 내부 담갈색, 주변 붉은색 변색 → 낙엽 유발
  • 전염 경로: 5월
    7월 바람에 의해 전염, 잠복기 60
    120일
  • 방제 방법:
    • 병든 잎은 즉시 제거 및 소각
    • 6~7월 비 온 후 반드시 약제 살포
    • 주요 약제: 타로닐수화제(500배), 베노밀수화제(1,500배), 지오판수화제(1,000배)

2. 모무늬낙엽병

  • 특징: 잎에 담갈색 반점 발생, 심하면 조기 낙엽
  • 전염 경로: 6월 하순 포자 전염, 잠복기 30일
  • 방제 방법:
    • 병든 낙엽 즉시 제거
    • 6~7월 등록 약제 살포

3. 탄저병

감나무 탄저병

  • 특징: 잎, 가지, 과실에 검은 반점 → 과실 붉게 변하고 낙과 발생
  • 전염 경로: 4~5월 비와 함께 전염
  • 방제 방법:
    • 전정으로 통풍·채광 확보
    • 질소비료 과다 사용 금지
    • 주요 약제: 다코닐수화제(1,000배), 다이센엠수화제(500배), 톱신수화제

4. 흰가루병

감나무 흰가루병

  • 특징: 잎 뒷면에 흰 곰팡이 발생 → 잎 마름, 과실 당도 저하
  • 전염 경로: 4~5월 포자 전염
  • 방제 방법:
    • 전지 전정으로 채광·통풍 개선
    • 베노밀수화제 4월 하순5월 중순 23회 살포

5. 감꼭지나방

  • 특징: 연 2회 발생, 6~7월 및 8월 하순 피해 집중
  • 방제 방법:
    • 피해 과실 즉시 제거
    • 겨울철 나무껍질 제거로 유충 서식처 차단
    • 주요 약제: 파프, 칼탑, 주론, 지오신, 델타린, 푸루시, 싸이스린 (2~3회 살포)

6. 노린재류 (썩덩나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등)

  • 특징: 과실 흡즙 → 꼭지 주변 변색, 낙과
  • 발생 시기: 7월~9월
  • 방제 방법:
    • 노린재용 약제 1~2회 살포
    • 인근 농작물과 동시 방제 필요

7. 깍지벌레류

  • 종류: 식나무깍지벌레, 거북밀깍지벌레, 뿔밀깍지벌레 등
  • 특징: 가지와 과실 흡즙 → 나무 세력 약화
  • 방제 방법:
    • 월동기 기계유 유제 살포
    • 전정 시 껍질 제거
    • 주요 약제: 뷰프로페진, 디노테퓨란수화제

결론

감나무는 철저한 병충해 관리가 이루어져야 고품질의 과실을 안정적으로 수확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병충해는 계절과 날씨에 따라 발생 시기가 뚜렷하기 때문에, 월별 약치는 시기를 지켜 예방적 방제를 해야 합니다. 예방이 곧 최고의 방제이며, 병충해가 발생한 후의 대처보다 훨씬 경제적이고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농가에서는 월동기 기계유 유제 살포를 시작으로 4월부터 9월까지 주요 병해충에 맞춘 약제 관리 계획을 철저히 세워야 합니다. 병든 가지, 잎, 과실은 즉시 제거·소각하고, 전정을 통해 나무의 세력을 유지하며, 약제는 안전사용기준을 지켜 살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감나무는 풍성한 수확과 더불어 상품성 높은 과실을 제공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