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추나무 약치는 시기, 병충해 방제 방법 총정리
대추나무는 월동 중 병원균·해충이 줄기 틈, 낙엽, 토양 표면에서 버티다가 발아 직후 연한 신초와 잎을 집중 공격합니다. 따라서 잎이 트기 전(휴면 후 해동 직후) 석회유황합제나 보르도액으로 1차 방제를 해두면, 이후 살균·살충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선제적” 대추나무 방제가 1년 수확량을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연간 대추나무 약치는 시기 (대추 병해충 방제 캘린더)
기상(지역)·수령·재배 방식에 따라 변동되므로 ‘기준 대추나무 약치는 시기’를 제시합니다. 대추나무 농약 살포 간격은 7~15일을 기본으로 하고, 강우 후에는 재살포를 고려하십시오.
3월 상~중순 (발아 직전·눈 트기 전)
- 약제: 석회유황합제 5~6도액 또는 보르도액 6-6식.
- 목적: 월동 병원균(탄저, 잎마름, 녹병)과 해충(깍지벌레류, 응애류) 계통 박멸.
4월 상~중순 (눈이 부풀고 신초 전개)
- 약제: 살균제(톱신, 벤레이트 등 벤지미다졸계) + 살충제(유충 발생기 등록약제).
- 포인트: 빗자루병 전염 매개충(마름무늬매미충) 초기 방제. 가지 절단면·상처 보호.
5~6월 (개화 전후, 신초 신장기)
- 약제: 예방적 살균제(다이센M-45, 디포라탄, 안트라콜 등) 10~14일 간격.
- 관리: 질소 과다 시 세균성 반점병, 잎마름병 증가 → 비료 균형 조절.
장마기 직전~중(6월 하순~7월, 남부는 앞당김)
- 약제: 세균성·진균성 복합 방제(보르도액 6-6식 + 농용신수화제 800배).
- 관리: 배수로 정비, 토양 비산 방지(부초 등), 수관 내부 통풍.
8~9월 (과실 비대기·후기)
- 약제: 탄저병, 녹병, 잎마름병 반복 살포(다이센-45 600배, 디포라탄 800배, 안트라콜 600~800배).
- 횟수: 3~4회, 강우 후 즉시 재살포.
- 포인트: 당도 저하·부패 예방, 낙엽 방지.
10월 하순 (수확 직후~낙엽기)
- 약제: 톱신수화제, 벤레이트수화제 등으로 줄기·가지 전면 도포 수준 살포.
- 관리: 병든 가지 절단·소각, 낙엽 수거 매몰. 월동 전 위생 방제 완료.
병해별 상세 진단 및 방제 전략
빗자루병 (마이코플라스마성, 가장 치명적)
증상: 잔가지 끝이나 줄기 각 부위에 빗자루처럼 잔가지가 군생. 개화·결실 불가, 2~3년 내 고사 가능.
전염경로:
- 접목 전염(무병 접수 확보 필수)
- 곤충 전염: 마름무늬매미충 등 흡즙성 해충
방제: - 전염경로 차단: 실생대목 + 무병주 채취 원칙
- 정기적 살충제 살포로 매개충 밀도 억제
- 테트라마이신(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간주입: 발병주 국부 억제 목적(완치 X, 진행 지연)
줄기썩음병
증상: 월동 후 초기, 동해 입은 가지처럼 수피 울퉁불퉁, 변색. 발아된 새가지·잎이 점차 고사.
방제:
- 상처 감염 주의. 수확 후 10월 하순 톱신/벤레이트 철저 살포
- 4월 상순 석회유황합제 5도액으로 1차 차단
- 큰 상처에는 유과도포제, 수성페인트 + 살균제 혼합 도포 병행
탄저병
증상: 과실 연화·부패, 약간 ‘쓴맛’, 단맛 나는 연부과와 감별. 껍질에 움푹 팬 병반.
방제:
- 발아 직전 석회유황합제(5도액)
- 장마 이후 다이센-45 600배, 디포라탄(모두나) 800배, 안트라콜 600배 8~9월 3~4회
- 배수 양호한 사질양토 조성, 질소 과다 금지
녹병
증상: 고온다습 남부지방 상습. 잎에 황갈색 반점 → 주변 황변 → 급격한 확산 및 조기 낙엽.
방제:
- 상습지: 배수 개선, 질소 절감, 부초 멀칭
- 발병 초기에 다이센M-45 600배, 디포라탄 800배, 안트라콜 800배 7~10일 간격 3~4회
잎마름병
증상: 배수 불량·질소 과다 과원에서 장마철 만연. 6월경 작은 적갈색 반점 2~4개 → 확대 후 정지 → 흑갈색 동심원. 앞·뒷면 동일 반점이 특징.
방제:
- 낙엽 수거·소각 혹은 깊은 매몰
- 4월 중순 발아 직전 석회유황합제 5도액 철저 살포
- 밀식 과원 간벌, 통풍 확보
- 장마 후 다이센-45 600배, 디포라탄 800배 10~15일 간격 3회 이상
세균성 반점병
증상: 6월 시작, 적갈색 반점 2~4개. 단독으로는 낙엽 적으나 잎마름병 2차 감염 시 낙엽 심화.
방제:
- 완전 방제 어려움 → ‘발생 억제’ 목표
- 농용신수화제(아그렙토, 부라마이신) 800배 + 6-6식 보르도액을 6월 하순~8월 3~4회
- 비료·배수 조절, 도장지 억제
해충 관리 포인트 (IPM 관점 포함)
대추 해충은 흡즙성(매미충, 진딧물류), 잎·과실 가해성(거세미나방, 잎말이나방), 응애류가 주류입니다.
주요 해충 및 시기
- 마름무늬매미충: 빗자루병 매개. 4~6월 성충 산란기 방제 핵심.
- 복숭아혹진딧물: 새잎 뒤틀림, 감로로 그을음병 유발. 5~6월 집중 방제.
- 점박이응애/혹응애: 고온기 잎 뒷면 가해, 황화·낙엽 유발. 6~8월 증식.
- 거세미나방·잎말이나방류: 신초·잎 가장자리 갈아먹음. 5~7월 1세대, 8~9월 2세대 방제.
- 깍지벌레류: 겨울 가지 틈 월동. 휴면기 석회유황합제 필수.
방제 전략
- 모니터링: 황색끈끈이트랩, 페로몬 트랩으로 성충 밀도 파악
- 친환경 자재: 기계유제, 유화유 등 석회유황합제와 교대 사용해 저항성 예방
- 혼용 주의: 보르도액과 유황계, 기계유제 등 혼용 금지 약제 구분
- 살충제 로테이션: 작용기작(IRAC 코드) 교차 사용으로 저항성 지연
약제 사용 시 실무 체크리스트
- 희석배수·도액: 라벨 기준 준수(예: 다이센M-45 600배, 보르도액 6-6식)
- 살포량: 큰 성목은 수관 외곽→내부→하부 순, 잔류물 흐를 정도의 충분량
- 기상 조건: 비 예보 전·후 피하고, 10~25℃ 무풍 또는 약풍 시기
- 혼용 테스트: 소량 시험 혼용 후 살포(침전·겔화·분리 여부 확인)
- 보호구: 마스크, 고무장갑, 방제복 착용. 빈병·약제 찌꺼기는 지정 장소 처리
- 수확 전 안전사용일수 준수: 출하 시 잔류농약 초과 방지
재배 관리로 병해충 ‘사전 차단’
- 배수·통풍: 습해·질소 과다 → 세균성·곰팡이성 병 증가. 배수로 정비, 간벌 필수.
- 비료 균형: 질소 과다 시 연약조직 증가, 병 증가. K·Ca 보충으로 조직 강화.
- 전정·상처 관리: 큰 가지 정지 후 절단면 소독·도포. 상처는 병균 ‘현관문’입니다.
- 위생 관리: 낙엽·병든 과실 제거·소각. 과원 주변 잡초·쓰레기 정리.
- 저항성 품종 선택: 가능 시 지역 적응성 높은 대목·품종 선택.
석회유황합제·보르도액 제대로 쓰는 법
석회유황합제(5~6도액)
- 시기: 휴면기~발아 직전
- 효과: 월동성 해충·진균 포자 억제
- 주의: 기계유제, 유황 함유 약제와 혼용 금지. 과다농도 시 약해.
보르도액(6-6식 기준)
- 제조: 생석회:황산구리:물 비율 6:6:100 (식별 테스트: 리트머스지 pH 중성 부근)
- 효과: 세균·진균 동시 억제. 특히 세균성 반점병, 잎마름병 예방
- 주의: 금속 살포기 부식 주의, 살포 직후 강우 시 재살포 필요
테트라마이신(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간주입 요령(빗자루병 대응)
- 목적: 발병주 진행 지연·증상 완화(완전 치유 아님)
- 방법:
- 가슴높이 직경 기준 구멍 천공(45° 아래로 향해, 수피 손상 최소화)
- 희석 약액 준비(라벨 농도 준수)
- 드립 또는 주사기로 천천히 주입
- 구멍 마감(파라핀·접목테이프)
- 주의: 동일 구멍 재사용 금지, 1년에 1~2회 이내. 무분별 사용은 내성·환경 문제.
통합병해충관리(IPM) 5단계 적용
- 정밀진단: 증상 사진·현미경 관찰, 지역 농업기술센터 진단 활용
- 예방 위주 계획: 휴면기 살포, 위생 관리, 배수 확보
- 모니터링과 문서화: 발생 날짜·약제·기상 기록 → 다음 해 처방 데이터베이스
- 유기·친환경 자재 병행: 병원균 밀도가 낮을 때 생물농약·기계유제 우선
- 화학 약제의 적정·교호 사용: 작용기작 다변화, 마지막 수단으로 사용
결론: “첫 단추”를 제대로 끼우면 1년이 편해진다
대추나무 병충해 방제의 핵심은 휴면기~발아 직전 선제 살포, 장마 전후의 집중 관리, 질소·배수·위생 등 재배환경의 최적화입니다. 빗자루병처럼 한 번 걸리면 치명적인 병은 전염경로 차단과 매개충 방제가 생명이며, 테트라마이신 수간주입은 보조적 수단임을 잊지 마십시오.
연중 계획표를 세우고, “기록”과 “예방”을 병행한다면 약제 비용·노동력을 절감하면서도 안정된 수확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나무 꽃 생물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철검 - 별을 녹여 만든 명검: 철질 운석으로 만든 칼과 다마스쿠스 검의 진짜 차이 (0) | 2025.07.23 |
---|---|
회화나무 열매 효능, 먹는법, 아카시아 꽃 닮은 꽃 꽃말 (0) | 2025.07.20 |
제주·봉평 메밀꽃 피는 시기 (0) | 2025.07.15 |
감자 수확시기, 보관방법 (0) | 2025.07.13 |
독버섯, 식용버섯 종류 사진과 이름 (0)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