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이 나무 꽃 생물 과학 카테고리에 있어서 버섯이 식물일 것이라는 선입견을 갖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버섯은 식물도 동물도 아닌 균류입니다. 버섯은 식물이 아닙니다. 하지만 생물이긴 하죠. 생물이기 때문에 이 카테고리에 작성됐습니다. 버섯은 식물과 동물과는 다른 생물 분류인 균류(Fungi)에 속합니다. 균류는 엽록소가 없어 광합성을 할 수 없고,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하며, 다른 생물체나 유기물에 붙어 영양분을 얻는 기생 또는 부생 생활을 합니다.
독버섯, 식용버섯 종류 사진과 이름
버섯은 ‘자연이 준 고급 식재료’이자 동시에 ‘자연이 숨긴 위험’입니다. 식용버섯과 독버섯은 외형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기 때문에, 정확한 동정(同定)과 기본 지식 이 필수입니다. 본 글에서는 참고자료에 언급된 모든 버섯을 식용‧독성으로 구분해 독버섯, 식용버섯 종류 사진과 이름을 소개하고, 각 버섯의 생물학적 분류와 조리·주의 팁까지 상세히 정리하였습니다.
식용버섯 종류 사진과 이름 16종
능이버섯
- 풍미 포인트: 진한 송진 향, 육질의 쫀득함
- 조리법: 죽·찜·전골에 넣으면 깊은 향이 살아납니다.
- 생물 분류
- 계 Fungi
- 문 Basidiomycota
- 강 Agaricomycetes
- 목 Thelephorales
- 과 Bankeraceae
- 속 Sarcodon
- 종 Sarcodon aspratus
송이버섯
가장 많이 독버섯과 헷갈려서 목숨을 앗아가는 버섯, 송이버섯입니다. 송이버섯이 비싼 식재료인 만큼 산에서 송이버섯 비슷한 것만 보여도 일단 줏어먹고 보는 **분들이 매년 그렇게 세상을 하직하십니다. 늙어도 추해지지 마십시다.
- 풍미 포인트: 솔잎 향, 고급스러운 감칠맛
- 조리법: 슬라이스 후 숯불 직화구이, 버터 소테 추천
- 생물 분류
- 계 Fungi – Basidiomycota – Agaricomycetes – Agaricales – Tricholomataceae – Tricholoma – T. matsutake
양송이버섯
- 풍미 포인트: 담백·부드러운 단맛
- 생물 분류: Fungi > Basidiomycota > Agaricales > Agaricaceae > Agaricus bisporus
새송이버섯
- 식감: 두툼·탄탄, ‘버섯 스테이크’라 불림
- 분류: Fungi > Basidiomycota > Agaricales > Pleurotaceae > Pleurotus eryngii
느타리버섯
- 특징: 은은한 향과 부드러운 캡, 국·찌개용 최적
- 분류: … > Pleurotus ostreatus
목이버섯
- 특징: 검갈색 젤리 질감, 식이섬유 풍부
- 분류: … > Auriculariales > Auriculariaceae > Auricularia auricula-judae
석이버섯
- 특징: 반투명 흰 젤리, 디저트·탕에 활용
- 분류: … > Tremellales > Tremella fuciformis
노루궁둥이버섯
노루궁둥이버섯 혹은 노루궁뎅이버섯이라고 부르는데, 생긴것은 가장 치명적인 독버섯일 것 같지만, 의외로 식용버섯입니다. 심지어 맛있습니다.
- 별칭: ‘사자갈기버섯’(Lion’s Mane)
- 분류: Russulales > Hericiaceae > Hericium erinaceus
표고버섯 & 송화버섯(건조)
비싼 버섯에 속하지만, 집에서도 쉽게 표고버섯 재배방법으로 재배해서 먹을 수 있는 버섯 중의 하나입니다. 그러니 제발 비슷하게 생겼다고 야생에서 아무거나 따 드시지 마세요. 독버섯 종류 사진 중에 표고랑 비슷해 보이는 진갈색주름버섯, 광비늘주름버섯 사진을 올려 두겠습니다.
- 풍미: 글루타민산·구아닐산의 시너지, 국물용 최강
- 분류: Agaricales > Omphalotaceae > Lentinula edodes
흰 굴뚝버섯
먹으면 바로 죽을것만 같은 독버섯처럼 생겼지만 의외로 식용이 가능한 버섯입니다. 썩은 감자같이 생긴것과 달리 향도 산뜻한 향이 납니다.
- 특징: 우아한 흰색, 산뜻한 향
- 분류: Lyophyllaceae > Hypsizygus ulmarius
뽕나무버섯
- 특징: 한의학 ‘상황(桑黃)’, 면역 관련 연구 활발
- 분류: Hymenochaetales > Hymenochaetaceae > Phellinus linteus
큰갓버섯
같은 큰갓버섯류 중에 독흰갈대버섯(흰독큰갓버섯)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구분이 쉽지 않습니다.
- 특징: 지름 40 cm까지, 파르마산 치즈 풍미
- 주의: 독버섯과 혼동 잦으므로 재배品만 섭취
- 분류: Agaricaceae > Macrolepiota procera
조각버섯류
전형적인 독버섯이라는 선입견에 부합되는 버섯의 전형인 조각버섯류는 의외로 식용버섯입니다만...웬만하면 구분하기 힘든 버섯 중의 대표적인 버섯이므로 함부로 섭취하지 마세요.
- 대표: 졸각·자주졸각·색시졸각버섯 (Boletaceae系)
- 특징: 캡 표면 코르크 질감, 견과류 향
비단그물버섯류
딱 보는순간 "아 씨Bar이건 독버섯이야"라고 생각되는 비주얼이지만 의외로 식용버섯입니다.
- 대표: 큰·황소·젖비단그물버섯 (Cortinariaceae系)
- 특징: 그물무늬·묘한 자두색, 식용 가능 개체 제한
잔나비걸상버섯(잔나비불로초)
소나무 잔나비 걸상버섯 효능 잔나비 불로초 버섯 복용방법
- 특징: 자작나무 기생, 검은 카멜 컬러
- 분류: Hymenochaetales > Inonotus > I. obliquus
주요 독버섯 종류 사진과 이름 4종
붉은사슴뿔버섯
욕심이 화를 부르는 버섯중 거의 탑급인 버섯인 붉은사슴뿔버섯입니다. 독성은 거의 극독에 이를 정도인데, 영지버섯 어린시기와 닮아서 사망사건이 잦은 버섯 중 하나입니다.
영지버섯을 길에서 줏어 먹을 생각을 버리세요.
진갈색주름버섯
- 독성: 코티나린(Cortinarin) · 오렐리닌, 신장 손상 유발
- 구별 팁: 녹슨 갈색 갓 + 녹변(綠變)하는 주름
광비늘주름버섯(노란대주름버섯)
- 독성: 오렐라닌 계열
- 구별 팁: 황금빛줄기·섬세한 비늘무늬, 단단한 감촉
- 주의사항: 육안 구별 난해, 전문가 판정 필요
독흰갈대버섯(흰독큰갓버섯) 독버섯
갈대버섯속에 속하지만, 큰갓버섯과도 동일하게 생겼기 때문에, 흰독큰갓버섯이라며 학명 이명은 "Macrolepiota neomastoidea (Hongo) Hongo 1986"입니다. 독버섯이라고 다 죽는 것은 아니지만 설사, 구토, 복통에 오한과 현기증을 동반한 소화불량 증상으로 체한 것 처럼 느껴지다가 3~4시간 정도 지나면 회복되기 시작하는 정도의 독버섯입니다. 굳이 먹어서 응원하지는 마세요.
- 사례: 식용인 큰갓버섯을 닮은 neomastoideum
- 예방: “냄새·색·갓 균열”만으로 판단 금지!
식용 vs. 독버섯 구별 체크리스트
체크하지마세요. 그냥 산에서 발견한 버섯은 함부로 입에 넣지 마세요!! 전문가도 욕심에 눈이 멀면 틀려서 먹고 뒈지는게 버섯입니다. 제발 산에서 함부로 버섯 줏어 먹지 마세요.
구분 요소 | 안전 식용버섯 | 치명적 독버섯 |
향 | 특유의 견과·솔잎·흙내 | 불쾌한 약품·무 냄새 |
포자색 | 흰색·연갈색(대다수) | 녹황색·녹갈색 다수 |
갓 표면 | 고르게 건조, 균열 일정 | 얼룩·끈적·유액 분비 |
주름 연결 | 대에 살짝 붙거나 자유 | 깊게 파고들어 감싸듯 |
안전 채취·보관·조리 TIP
- 사진·필드 가이드 동시 휴대 → 현장에서 즉시 대조
- 동일 종이라도 생육 단계별 색상·질감이 달라짐을 염두
- 90 ℃ 이상, 10 분 이상 충분 가열(독성 파괴 & 기생충 사멸)
- 초보자는 재배·유통 인증 제품만 이용, 야생 채취 자제
- 이상 반응(구토·설사·두통) 시 즉시 병원 방문 & 잔여물 지참
마무리
버섯은 ‘풍미의 완성’과 ‘독의 함정’이 공존하는 식재료입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한 식용 16종, 독성 4종 을 바탕으로 외형·향·주름·포자색을 다각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안전 수칙만 지킨다면 버섯은 면역력 증진과 요리의 격(格)을 높여주는 최고의 선물이 될 것입니다.
'나무 꽃 생물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나무 약치는 시기 대봉 감나무약 병충해 방제 방법 (0) | 2025.07.06 |
---|---|
지레 예시, 1종 2종 3종 지렛대의 원리 (0) | 2025.07.05 |
7월 탄생화 꽃말, 영어 이름 (0) | 2025.07.02 |
참외 순치기 방법 시기, 순지르기 그림 (0) | 2025.07.01 |
토란 수확시기, 토란대(줄기) 말리는 방법 (0) | 2025.06.30 |